본문 바로가기

독서백편의자현/詩로빚어낸마음

가을바닷가에 새겨진 한 사내의 마음 … 정양「토막말」

비속어나 욕설을 권장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이것들을 무조건 배척하는 것도 좋지 않다.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이런 말을 쓰고 있고, 또 쓸 수밖에 없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때로는 비속어나 욕설이 착한 말보다 진실한 감정을 더 잘 표현하기도 한다.

 

정양의 「토막말」의 “보고자퍼서죽껏다씨펄”은 자극적인 표현이긴 하지만, ‘사랑해’보다 더 절절하고 아름답게 느껴진다. 가을바다의 노을 진 풍경에 아름답고 슬픈 사연을 품은 모래 위의 「토막말」을 음미해본다.

 

살아 있는 것들의 무게

정양 | 창비 | 1997

 

 

 

가을 바닷가에
누가 써 놓고 간 말
썰물 진 모래밭에 한 줄로 쓴 말
글자가 모두 대문짝만씩해서
하늘에서 읽기가 더 수월할 것 같다

 

정순아보고자퍼서죽껏다씨펄

 

씨펄 근처에 도장 찍힌 발자국이 어지럽다
하늘더러 읽어 달라고 이렇게 크게 썼는가
무슨 막말이 이렇게 대책도 없이 아름다운가
손등에 얼음 조각을 녹이며 견디던
시리디시린 통증이 문득 몸에 감긴다

 

둘러보아도 아무도 없는 가을 바다
저만치서 무심한 밀물이 번득이며 온다
바다는 춥고 토막말이 몸에 저리다
얼음 조각처럼 사라질 토막말을
저녁놀이 진저리 치며 새겨 읽는다

 

 

 


가을바닷가는 생각만 해도 쓸쓸함이 가득하다. 그런 가을바닷가에 한 사내가 혼자 왔다. 오직 정순이만을 사랑했던 그 사내는 여전히 미치도록 정순이가 보고 싶다. 우리가 알 수 없는 어떤 사연으로 두 사람은 만날 수 없게 되었다. 시간이 갈수록 그리움은 더해갔고, 사랑하는 이를 만날 수 없는 현실이 사내를 괴롭혔다. 일은 손에 잡히지 않았고, 삶은 아무 의미도 없는 것처럼 느껴졌다. 그러니 가을 바다에라도 갈 수 밖에….

 

탁 트인 바다와 마주했지만 먹먹한 가슴은 여전하다. 이윽고 사내는 “하늘에서 읽기가 더 수월할 정도로” 큼지막하게 “정순아보고자퍼서죽껏다씨펄”이라고 모래에 새긴다. 미치도록 보고 싶어서, 아무도 보아주지 않을 지라도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죽을 것 같아서 꾹꾹 모래를, 아니 자신의 가슴을 사정없이 후벼 팠다.

 

세상에 ‘사랑해’가 아닌, “보고자파서죽껏다”고 말하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 여기에 “씨펄”이라고 막말을 덧붙일 수 있는 사람은 또 얼마나 있을까? 아마 가을 바다에 갔던 그 사내뿐일 것이다. “씨펄”이라고 말할 줄 아는 그 사내의 ‘정순’만을 위한 토막말은 저녁놀마저도 “진저리 치며” 읽어야 할 정도로 애절하다. 얼마나 보고 싶은 마음이 절실했으면 맞춤법마저도 초월하고, ‘사랑해’라는 평범한 표준어마저 내팽개쳐 버렸겠는가? 사랑을 위해서라면 세상의 모든 금기를 뛰어넘기라도 할 듯이 사내는 막말까지 서슴지 않았다. 비록 “씨펄”이 비속어지만 세상의 어느 말보다 절절하고 아름답게 다가오는 것은, 이 사내의 진한 그리움 때문이리라.

 

글씨를 다 쓰고 나서도 여전히 가슴이 답답했던 사내는 자신이 써 놓은 말들 근처에서 한참을 어슬렁거렸다. 하지만 그런 사내의 마음을 알아줄 사람은 세상에 없다. 무슨 이유인지 알 수 없으나 그의 마음을 몰라주는 정순이처럼, 어느 누구도 그의 토막말을 듣지 못했을 것이다. 그래서 하늘이라도 알아달라며 그리도 크게 쓴 것일까?

 

사내가 바닷가를 떠나고 밀물이 몰려온다. 사내의 절규도 흔적 없이 사라져 바다 깊이 가라앉게 될 것이다. 이 소심한 사내의 절규는 그와 정순의 사랑이 그랬던 것처럼, 가을 바닷가를 잠시 물들이고 사라지는 저녁놀처럼 곧 저물고 말 운명이다. 그래서 이 “대책도 없이 아름다운” 토막말은 “손등 위의 얼음 조각을 녹이며 견디던 시리디시린 통증”처럼 시리고 또 시리고, 저리고 또 저리게 한다.

 

사내가 떠난 가을바닷가는 아름다운 사연을 품었으나, 전보다 더 쓸쓸하다. 바다를 향해 아무리 소리를 쳐도 바다는 그 말을 삼키기만 하고, 파도는 가슴을 더 깊게 후벼 파는 듯하다. 하지만 문득, 이런 사랑 한번 하지 않고 죽는다면 후회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