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백편의자현/독서_톡톡Talk

벤자민이 삶을 대하는 자세 … 피츠제럴드『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F. 스콧 피츠제럴드 | 케빈 코넬 그림

공보경 역 | 노블마인 | 2009

 

이 책은 앞부분은 케빈 코넬의 그래픽 노블로, 뒷부분에는 원작 소설과 영어 원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픽 노블이라는 새로운 형식의 첨가가 이 책이 동명의 다른 책들과 구별되는 가장 큰 차이점이다. (말은 그럴 듯하지만 그래픽 노블은 한마디로 만화다.) 케빈 코넬이 1860년~1930년 사이의 패션, 건물구조, 기술발달 수준, 골동품, 볼티모어, 예일, 하버드의 풍경에 대해 광범위한 자료조사를 한 후 그려서 당대 옷차림과 풍경을 일러스트에 정확히 반영했다는 그래픽 노블은 소설을 읽으며 떠올릴 수 있는 장면들을 실제 그림으로 눈 앞에 보여준다. 그것이 책을 읽으며 만끽할 수 있는 상상할 수 있는 즐거움을 빼앗는 것이 될 수 있기에 장점인지는 모르겠지만 작품을 수월하게 이해하는 것에는 확실히 효과가 있는 듯하다. 그리고 만화 속에 나오는 대사 및 지문은 몇몇 지문들을 제외하고는 원작 소설의 문장들을 거의 그대로 살려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원문을 읽을 땐 형식만 다를 뿐 같은 내용을 두 번 읽는다는 느낌이 들어 여느 책을 읽을 때의 내용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리는 것 또한 사실이다.

 

 

1860년 일흔 살 노인의 모습으로 태어나 부모를 욕되게 하고 점잖은 남부 사교계를 대경실색하게 한 벤자민 버튼은 1930년 영아의 모습으로 죽음을 맞는다.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는 우리가 당연히 생각하는 ‘나이가 들어간다’는 현실을 ‘점점 아기가 되어간다’는 설정으로 삶의 방향성을 거꾸로 돌림으로 인생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아무 것도 모르는 아기로 태어나 신체적, 정신적으로 성장하고, 늙어서 죽음에 이르는 우리의 삶을 책을 읽는 내내 벤자민의 삶과 비교하며 시간과 인생에 대한 깊은 성찰로 이끔으로써.


나이를 거꾸로 먹는 벤자민의 삶에서 특히 인상적인 점은 점점 젊어지는 자신에 대해 크게 고민하거나 괴로워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남들과 다르다는 것에서부터 오는 걱정, 괴로움, 두려움은 벤자민의 것이 아니다. 주변인들이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두려워하며 자신의 평판을 걱정하는 것이 보여질 뿐 벤자민 자신은 오히려 세상에 철저하게 적응하며 성공적으로 삶을 살아낸다. 남들과 다르다는 이유로 콤플렉스로 여기면서 세상과 담을 쌓으며, 스스로 소외되지도 않는다.


다른 사람과 다르다는 이유로 세상과 갈등하고, 그 갈등을 통해 치유해가는 많은 작품들에서 ‘나와 다른 것을 인정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다면 주변과의 갈등은 가볍게 넘기고 자신을 인정하고 세상과 소통해가는 벤자민의 삶은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중요한지’를 생각하게 한다. 누구 하나 같은 이가 없는 세상에서 다양한 생각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는 우리네에게 벤자민은 많은 사람들의 흐름과는 다르게 흘러가는 자신의 특별함을 장점으로 발전시키고, 타인을 원망하고 자신의 독특함을 비관하기보다 오히려 개성으로 받아들이라고 말하는 듯하다.


거꾸로 가는 시간 속에 살고 있는 이 남자는 철저히 외톨이다. 타인과 공유할 수 없는 삶이기에 누구 하나 자신을 이해해주는 이가 없다. 노인으로 태어나 보살핌을 받아야 하지만 부모는 자신을 짐스러워하고, 생을 마감하는 시기에 자식이 아닌 유모의 돌봄을 받는다. 자신을 사촌이라 소개하는 아버지, 삼촌이라 부르라는 아들, 젊어가는 것을 멈추지 않는다며 혐오의 눈으로 보는 아내. 많은 사람들 속에서 세상에 완벽하게 적응하며 아름다운 여인과 사랑을 하고 성공적인 인생을 살아가지만 그는 어디에도 속하지 못했다. 소설에서는 비록 가볍게 이런 일들을 넘기고 있지만 ‘상상력’이란 무서운 능력을 가진 우린 이 시간들 속에 스며있는 벤자민의 외로움의 무게를 느낄 수 있다. 영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에서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늙어가지 못한다는 것이 얼마나 슬픈 일인가를 느낄 수 있었다면, 소설에선 결국은 혼자일 수 밖에 없는 인생의 서글픔이 느낄 수 있다. 더불어 “그래도 나에겐 ‘누군가’가 있지 않은가?”하는 위로도 받으면서.


벤자민의 일생을 별다른 가감 없이 일직선으로 보여주어 소설의 길이는 그리 길지 않다. 그런데 책을 다 읽고 난 후 마치 몇 백 장의 장편소설을 읽었다는 느낌이 드는 건 왜일까? 이것이 이 작품이 주는 매력이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