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백편의자현/詩로빚어낸마음

'밥' 한 그릇 뚝딱! 어떠신가 … 함민복「긍정적인 밥」

아버지께선 요즘 대선 후보자들이 내놓은 책들을 읽고 계시는데, 그 중 김두관이 쓴 책에서 문병란의 「희망가」를 보시곤 한번 읽어보라 권해주셨다. 누구의 시인지는 몰랐지만 「희망가」는 이미 내게 익숙한 시였다. 많은 곳에서 인용되고 있는 구절들이었기 때문이다. 너무 익숙한 시여서 일까,「희망가」를 읽으며 시에 집중이 되기보다 오히려 다른 시가 떠올랐다. 내가 힘들 때 생각나는 시 중 하나인 함민복 시인의 「긍정적인 밥」인데, 「희망가」와 비슷한 맥락의 시이지만, 내겐 좀 더 마음을 적셔주는 시다.

 

행복은 어떤 감정이나 상황이 아닌 ‘선택’인 것이라 한다. 나의 선택에 따라 삶은 행복도, 불행도 될 수 있는 것이다. 어려운 생활 속에서 시를 써 생계를 유지하면서도, 밝고 긍정적인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있는 시(詩)로 지은 밥 한 상 조촐하게 차려본다.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

함민복 | 창비 | 1996

 

 

 

시 한 편에 삼만 원이면
너무 박하다 싶다가도
쌀이 두 말인데 생각하면
금방 마음이 따뜻한 밥이 되네

 

시집 한 권에 삼천 원이면
든 공에 비해 헐하다 싶다가도
국밥이 한 그릇인데
내 시집이 국밥 한 그릇만큼
사람들 가슴을 따뜻하게 덥혀 줄 수 있을까
생각하면 아직 멀기만 하네

 

시집이 한 권 팔리면
내게 삼백 원이 돌아온다
박리다 싶다가도
굵은 소금이 한 됫박인데 생각하면
푸른 바다처럼 상할 마음 하나 없네

 

 

 


이 시의 화자는 시인이다. 말 그대로 시를 써서 먹고 사는 사람이다. 그래서 어느 순간 자신이 시를 쓰고 받는 대가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다. 시인은 그 대가들을 삼만 원, 삼천 원, 삼백 원으로 ‘3’이란 숫자로 표현한다.

 

시인은 처음에 그 대가들이 자신이 시를 쓰는 데 들인 노력에 비해 너무 적다고 불만을 표시한다. 시 한편을 써서 문학잡지에 실어야 고작 삼만 원이고, 시집 한권을 팔면 삼천 원, 게다가 한권의 시집을 팔아 자신에게 돌아오는 인세는 10분에 1인 삼백 원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인은 곧 생각을 고쳐먹는다. 그 대가들로 살 수 있는 음식들, 즉 쌀, 국밥, 소금을 떠올려 보니 그 대가가 결코 적은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 것이다. 자신이 보잘 것 없이 작은 돈이라고 생각했던 것들은 따뜻한 밥이 될 수도 있고, 추운 날씨에 마음까지 녹여줄 국밥 한 그릇이 될 수도 있고 세상이라는 바다를 바다답게 만드는 짠 소금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시에 적힌 밥과 국밥, 소금은 단순히 물질적인 의미를 지닌 것이 아니라 세상 사람의 마음을 채워주고 ‘세상을 좀 더 아름답게 만드는 그 무엇’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시인은 오히려 자신이 그것들만큼 사회에 기여했는지를 생각하며 스스로 부끄러워한다.

 

시인은 시 쓰는 일을 돈이 아닌 다른 것과 견주어 보고 나서 자신의 처지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에서 벗어나게 된다. 결국 ‘밥’이 시인에게 긍정적인 자세를 일깨워준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 시의 제목을 ‘긍정적인 밥’이라고 말하는 것도 무리가 아닐 것이다.

 

시인은 어려운 생활 속에서 시를 써 생계를 유지하면서도, 세상을 보는 시선이 따뜻하고, 밝다. 그래서 이 시를 읽고 나면 배불리 밥을 먹은 것처럼 세상과 싸워 나갈 힘을 얻게 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마음이 밝아지면 삶이 달라진다. 삶이 달라지면 인생이 달라진다. 나무만 자라는 것이 아니라 마음도 키가 커 간다. 오늘은 ‘긍정적인 밥’ 한 그릇 뚝딱! 어떠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