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全문보기/가집(歌集) 원문|전문

[기타_서원지] 주세붕 『죽계지』 수록 시조 원문 텍스트

주세붕(周世鵬)_『죽계지(竹溪誌)』

죽계지(竹溪誌) 권지일(卷之一)

『죽계지(竹溪誌)』는 주세붕(周世鵬)이 풍기군수로 있을 때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설립하면서 그 취지를 알리기 위해 관련 기록을 모아놓은 책이다. 여러 차례 간행되면서 6권 3책본, 3권 1책본, 5권 1책본이 있는데, 국문시가는 6권 3책본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안축의 <죽계별곡(竹溪別曲)>과 경기체가인 주세붕 자신이 쓴 <도동곡(道東曲)> 9장, <육현가(六賢歌)>, <엄연곡(儼然曲)> 7장, <태평곡(太平曲)> 5장과 함께 시조 9수가 실려 있다.
<군자가(君子歌)>, <학이가(學而歌)>, <문진가(問津歌)>, <욕기가(浴沂歌)>, <춘풍가(春風歌)>, <지선가(至善歌)>, <효제가(孝悌歌)>, <정양음(靜養吟)>, <동찰음(動察吟)> 등 시조 9수는 대부분 유교이념을 노래한 것으로 교화를 목적으로 창작된 것이다. 형태적인 측면에서 안정된 평시조의 정형을 갖추고 있지 않는 등 문학적 성취는 높지 않으나 16세기 전반 국문시가의 존재와 기능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문학사적으로 매우 소중한 자료이다.

 

君子歌

01사사마당君子願니밋디못요몯보히이다진실로願커시든이몬져삼가쇼셔

學而歌

02호고잇디마애먼벋즐거오니내게옷이시면미아아나마나富貴浮雲티보고曲肱而枕오

問津歌

03밧가뎌하라바問津웃디마라사미외여셔鳥獸벋것매닛디몯여오락가락노라

浴沂歌

04汶上애아니가다陋巷이업스리야藜藿의됴마駟馬올가春風에浴沂고로三省호리

春風歌

05라사미러니나아一團和氣이三十年뫼와셔忿厲보신가春風이불어시드이부닌가너기뇌

至善歌

06至善게신진실로아쇼셔人心과天命의本然피샤나것드거시忘을입시쇼셔

孝悌歌

07至德要道先王이듯시니民用和睦야上下이無怨실이다진실로오려니孝悌닝이다

靜養吟

養之得養之靜時須養哉齊山濯可哀宋苗揠堪咍惺惺保固有暫離[각주:1]便冦來寂感致中和聖孫爲繼開

08양고양쇼셔졍시예양쇼셔졔사내탁탁홈과알묘도우오니뒨것안보샤여희디랄말쇼셔

動察吟

察之得察之動處須加察屋漏事所爲衆中情所發纔差汝獨知愼物更萌[각주:2]作作歌聊自警服膺要無斁

09피오피쇼셔동쳐피쇼셔옥누에일와즁듕에나들왼즈아라시어든다시작마라쇼셔

 

  1. ** 원문에는 ‘離’가 빠져 있다. [본문으로]
  2. ** 원문에는 ‘萠’로 되어 있으나 의미상 ‘萌’이 맞으므로 ‘萌’으로 쓴다. [본문으로]